(1) 개술(槪述) 중풍은 심, 간, 신, 삼장의 음양실조, 기혈역란으로 풍, 화, 담, 어가 산생(産生)하여 뇌맥비조(腦脈痹阻) 혹은 혈익뇌맥(血謚腦脈)를 초래한 것으로 임상에서 갑자기 졸도하여 인시불성이 되고 입과 눈이 돌아가서 말을 못하고 半身不遂 혹은 한쪽이 마비되는 현상이 主症인 疾病이다. 중풍은 정서개변에 근거하여 중경락과 중장부 두종류로 분류한다.
(2) 진단요점(診斷要點)
1. 정신이 없고 멍청하며 심지어는 昏迷하거나 의식이 흐리고 반신불수(半身不遂), 구설와사(口舌咼斜) 혹은 불어(不語), 편신마비(偏身痲痹)가 主症이다.
2. 대개 갑자기 기병하는데 40세 이상의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3. 발병전 대개 유인(誘因)현상이 있는데 늘상 두통, 頭暈, 지체마비, 無力등 징조가 있다.
(3) 치료원칙(治療原則) 중풍은 급성기에는 표실(標實)증상이 돌출한데 急하면 그 標를 治한다. 치료는 개규거사(開竅祛邪)를 主로 하고 성뇌개규(醒腦開竅), 평간식풍(平肝熄風), 청화담열(淸化痰熱), 화담통부(化痰通腑), 활혈통락(活血通絡)등 방법으로 치료한다. 閉, 脫二証은 각기 거사성신(祛邪醒神)과 부정고본(扶正固本), 구음고양(求陰固陽)해야 한다. 회복기 및 후유증기에는 대개 허실협잡(虛實夾雜), 사실미청(邪實末淸)하여 정허(正虛)로 나타나므로 부정거사(扶正祛邪)해야 한다.
(4) 치료방법(治療方法) 중풍은 中經絡과 中臟腑 두종류로 분류한다. 임상에서는 대개 급성기 및 회복기와 후유증기로 나누어 치료한다 급성기는 중장부의 폐증 혹은 탈증으로 표현되고 회복기와 후유증기에는 風, 火, 痰, 瘀, 氣虛, 陰虛등의 구분이 있다.
1. 폐증(閉証) 증상(症狀): 갑자기 졸도하여 인사불성되여 입을 꼭 다물고 두손은 은 꽉 쥐고 있으며 面赤氣粗, 喉中痰鳴, 大小便을 가르지 못하고 몸에 경련을 일으킨다. 폐증은 陽閉와 陰閉로 분류하는데 양폐(陽閉)는 身熱, 煩躁, 面赤氣粗 ,口臭, 苔黃膩, 脈弦活數하다. 음폐(陰閉)는 面色蒼白, 身寒肢冷, 口吐痰延, 舌苔白, 脈弦沉活하다. 치법(治法) : 제담개규(除痰開竅), 평간식풍(平肝熄風)한다. 督脈과 12井穴을 위주로 하고 心經, 肝經을 보조로 한다. 취혈(取穴) : 폐삼침, 태충, 합곡, 풍륭 가감(加減) : 입몸을 꼭담은 현상일때는 협차, 하관을 加한다. 조작(操作) : 사법을 사용하여 자침하고 12정혈, 십선혈로 천자출혈하되 유침은 안한다. 양폐(陽閉)는 침자만하고 구는 하지 않는다. 음폐(陰閉)는 鍼后 灸한다. 태충은 용천까지 투자하고 강자격(强刺激)을 주며 염전사법을 취한다.
2. 탈증(脫証) 증상(症狀) : 갑자기 졸도하고 인사불성이 되며 눈을 감고 입을 벌리고 있으며 코를 골고 숨은 약하며 손발이 차고 땀이 많으며 기체연탄(肢體軟灘)되고 설위(舌痿), 맥미욕절(脈微欲絶)하다. 치법(治法) : 扶元固脫, 回陽复脈 취혈(取穴) : 탈삼침, 관원 조작(操作) : 구법을 사용한다. 신궐, 관원은 격염구하다. 백회를 침자시 연피자입 1촌하고 염전하여 침하에 緊澀感(혹은 重脹感)이 있도록하고, 득기후 평보평사한다. 수구혈은 평보평사한다. 灸후 합곡, 족삼리, 백회를 평보평사하여 療效를 제고시켜 준다.
3. 회복기 및 후유증기 증상(症狀) : 조화경맥(調和經脈), 소통기혈(疏通氣血)
① 주혈(主穴) : 편탄대측의 섭삼침(顳三鍼), 사신침(四神針)
조작(操作) : 30호 2寸毫鍼사용 침첨을 아래로 향해 피부와 15~30도 각도로 하여 1~1.5촌 자침하여 국부에 산마창감이 두부에 까지 확산되도록 한다. 虛証은 평보평사하고 실증은 염전사법을 사용한다.
② 변증취혈(辨證取穴)
A. 풍담어혈(風痰瘀血), 비조맥락(痹阻脈絡): 반신마비, 두운목현, 설질암담, 설태박백, 맥현활의 증상이 나타난다. 설삼침, 수삼침, 족삼침을 배오해야 한다. 조맥락(痹阻脈絡)는 반신불수, 구설와사, 설강, 조작(操作) : 사법으로 침자하고 灸한다.
B. 간양폭항(肝陽暴亢), 풍화상요(風火上扰): 반신불수, 반신마비, 설강언건(舌强言蹇)혹은 불어, 현운두통, 구안와사 , 심번역노, 뇨적면건, 설질홍, 설채박황, 맥현유력한 증상이 나타난다. 태충, 양릉천, 태계, 내관혈을 배오한다. 조작(操作) : 상규자법으로 태충, 내관, 양릉천을 사법, 태계를 보법을 사용한다.
C. 담열부실(痰熱腑實), 풍화상요(風火上扰): 반신불수, 구설와사, 언어장애 혹은 不語, 반신마비, 복창변비, 두운목현, 객담 혹는 담대, 태황 혹은 황니, 맥현활의 증상이 나타난다. 위삼침, 대장유등을 배오한다. 조작(操作) : 평보평사
D. 기허혈어(氣虛血瘀): 반신불수, 구사와사, 말을 더듬거나 혹은 말을 못하며 반신마비, 면색창백, 거단무력, 구각유연, 자한, 심계변탕, 수족종창, 설질암담, 설태박백 혹은 박니, 맥침세, 혹은 세현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관원, 신궐, 태충, 혈해, 삼음교를 배한다. 조작(操作) : 관원, 신궐은 격강구 혹은 격염구한다. 태충, 혈해, 삼음교는 사법을 사용한다.
E. 음허풍동(陰虛風動): 반신불수, 구설와사, 말을 더듬고 혹은 못하며 반신마비, 번조불안, 현운이명, 수족심열, 설질홍강 혹은 암홍, 소태 혹은 무태, 맥세현 혹은 맥세수의 증상이 나타난다. 조작(操作) : 사신침을 사용하는데 침첨을 백회로 향해 연피1촌 사입하여 침자하고 내관, 태충은 사법을 사용한다.
③ 수증취혈(隨症取穴)
A. 반신불수 상지: 견삼침(肩三鍼), 수삼침(手三鍼), 내관. 하지: 족삼리, 환도, 위중, 절골 조작(操作) : 사지혈은 모두 사법을 사용한다. 상지제혈은 자침할때는 상지가 실룩거릴 정도, 하지를 자침할때는 하지가 실룩거릴 정도로 자극을 준다. 그 중 위중혈의 침감의 요구는 과관절까지 전달되도록 한다. 득기후 모든혈에 電鍼儀를 연결하여 환자가 참을수 있을 정도로 매5~10분마 다 크게 자극을 주고 유침은 20~30분간한다.
B. 구안와사 면삼침, 양백, 풍지 조작(操作): 풍지혈을 자침시 대측 혹은 동측 구각방향으로 斜刺 0.5~1.5촌하여 강자극해 국부에 산창감이 있고 頭頂, 前額과 눈까지 확산되도록 한다. 기타혈은 상규자법으로 평보평사한다.
C. 언어장애 설삼침(舌三鍼), 풍부에서 아문까지 투자한다. 조작(操作): 설삼침시 환자를 바로 앉게하고 침첨(鍼尖)을 수직방향으로 1~1.5촌좌우 직자한다. 제삽염전수법을 사용하여 침감이 설근 혹은 구강, 협부(頰部)까지 확 산되여 환자로 하여금 인후부에 발열, 麻脹등 감이 있도록하고 허보실사(虛補實瀉), 혹은 평보평사한다. 설삼침 제2침, 제3침시 응당히 중선 및 설근을 향해 斜刺해야 한다.
1. 폐삼침(閉三鍼)
(1) 혈위구성(穴位構成) 수구(水溝), 용천(涌泉), 십선(十宣)
(2) 부위(部位) 수구(水溝) : 면부에서 인중구(人中溝)의 상1/3과 중1/3의 교점 용천(涌泉) : “足智鍼” 참조 십선(十宣) : 수지 십지첨단(十指尖端), 지갑(指甲)에서 0.1寸처
(3) 주치(主治) 정신혼미, 의식불청(意識不淸), 구금불개(口禁不開) 등 급증
(4) 자구법(刺灸法) 수구(水溝)은 향상침자 0.5~0.8寸하고 국부에 창통(脹痛)이 있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염전보사법을 사용한다. 용천은 “足智鍼” 참조 십선(十宣)은 천자0.1~0.3寸하고 국부창통(局部脹痛)이 있다. 수법은 평보평사법을 사용하거나 혹은 삼능침으로 점자출혈한다.
2. 탈삼침(脫三鍼)
(1) 혈위구성(穴位構成) 백회(白會). 신궐(神闕), 수구(水溝)
(2) 부위(部位) 백회(百會) : 두부(頭部)전발제정중직상(前發際正中直上)5寸, 또는 양 이첨(兩耳尖) 연선의 중간점 신궐(神闕) : 복중부(腹中部), 제중앙(臍中央) 수구(水溝) : “폐삼침(閉三鍼)”을 참조
(3) 주치(主治) 각종 허탈병증(虛脫病症)
(4) 자구법(刺灸法) 백회(白會) : 평자 0.5~1촌(寸) 하는데 전후좌우로 사신총에 투자(透刺)하여 국부(局部)가 산창하고 두정부까지 확산케 한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염전보사법을 사용한다. 침후 가구한다. 애조온화구 10~15분 하며 또한 간접구 3~5장 한다. 신궐(神闕) : 일반적으로 애주구 혹은 애조구 10~20분간 한다. 생강이나 소금으로 간접구 5~15장 하면 국부가 온열서적(溫熱舒適)하고 신지청성(神志淸醒)한다. 수구(水溝) : “폐삼침(閉三鍼)”을 참조
3. 견삼침(肩三鍼)
(1) 혈위구성(穴位構成) 견1침(肩1鍼), 견2침(肩2鍼), 견3침(肩3鍼) (그림 2-10)
(2) 부위(部位) 견1침(肩2鍼) : 견우혈(肩髃穴)로 견부삼각처에 있다 .비외전(臂外展)혹은 앞으로 평신시 견봉(肩峰)전하방의 견2침(肩2鍼) : 견우혈(肩髃穴)의 동수평 전방 2寸 견3침(肩3鍼) : 견우혈(肩髃穴)의 동수평 후방 2寸
(3) 주치(主治) 견주염(肩周炎), 견관절염(肩關節炎), 상지탄탄(上肢癱瘓)
(4) 자구법(刺灸法) 견우는 직자 1~1.5寸하여 국부(局部)에 산창감이 나타나고 견관절주위까지 확산되거나 마전감(麻電感)이 아래로 확산되게 한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제삽염전법을 사용한다. 견2침은 직자 0.8촌寸 하면 어깨부위 및 대기부위(大肌部位)에 산창감(痠脹感)이 나타나고, 어떤 때는 마전감(麻電感)이 전비내측(前臂內側)으로 전달된다. 흉강(胸腔)으로 자입(刺入)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견2침은 밖으로 사자(斜刺) 1~1.5寸 혹은 전액(前腋)방향으로 투자하여 어깨부위 및 견갑부에 산창감(痠脹感)이 나타나게 한다. 어떤 때는 마전감(麻電感)이 肩 및 손끝으로 전달토록 한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염전․제삽보사법을 사용한다.
(5) 배오(配伍) 상지마비, 탄탄(癱瘓)은 수삼침을 배오하고 경부산창동통(頸部 痠脹疼痛)은 경삼침(頸三鍼)을 配하며 견주염(肩周炎)은 곡지를 배오한다.
4. 면삼침(面三鍼)
(1) 穴位構成 예풍(翳風), 지창(地倉), 협차(頰車), 합곡(合谷)
(2) 部位 예풍(翳風) : 이수후하연(耳垂后下緣), 유돌(乳突)과 하합각(下頜角)사이의 요함처 지창(地倉) : 구각외축(口角外側) 0.4寸, 거료혈(巨髎穴)직하. 협차(頰車) : 면협부(面頰部), 하합각전상방(저작시咀嚼時) 근육(筋肉)이 융기(隆起) 되는곳. 합곡(合谷) : “手三鍼” 참조
(3) 주치(主治) 면신경마비(面神經麻痺)
(4) 자구법(刺灸法) 예풍(翳風) : 직자 0.5~1寸, 이후산창(耳后痠脹)하고 설전부(舌前部)까지 산창감(痠脹감)이 확산되므로 면탄, 이하선염을 치료한다. 또한 내전하방 사자 1.5~2寸하면 국부(局部)가 산창(痠脹)하고 인부(咽部)까지 확산되며 인부(咽部)는 갑갑하고 발열감이 있는데 농아(聾啞)를 치료한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염전보사수법을 사용한다. 그 외 애주구3~5장(壯), 에조구 5~10분간 한다. 지창(地倉) : 평자(平刺) 1.0~2.5寸 한다. 면탄치료시 투협차혈(透頰車穴)하고 삼차신경치료시는 투영향혈(透迎香穴)하여 국부가 산창(痠脹)하고 반측면부(半側面部)까지 확산하도록 한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염전보사법을 사용한다. 협차(頰車) : 직자 0.5~0.8寸 한다. 투 지창혈(地倉穴)하면 면탄을 치료한다. “滞鍼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염전하여 침체가 돌아가지 않을때 까지 하다가 침병(鍼柄)을 잡고 환측으로 당긴다. 도는 향상(向上) 혹은 향하(向下) 사자(斜刺) 0.5~0.8寸하여 상하치통을 치료하는데 국부가 산창하고 주위로 확산된다. 수법은 평보평사법 혹은 염전보사법을 사용한다. 합곡(合谷) : “手三鍼”을 참조
(5) 배오(配伍) 면신경마비나 비순구가 변했을 때는 영향(迎香), 수구(水溝)를 가해주고 류연자(流涎者)는 승장(承獎)을 가해주며 구와에는 태양(太陽), 양백(陽白), 사백(四白), 협차(頰車), 예풍(翳風) 등을 취한다.
5. 설살침(舌三鍼)
(1) 혈위구성(穴位構成) 상염천(上廉泉), 염천좌(廉泉左), 염천우(廉泉右)
(2) 부위(部位) 상염천(上廉泉) : 경부(頸部) 전정중선상(前正中線上) 결후상방(結喉上方),설골체상연(舌骨體上緣)요함처 직상 0.5寸 좌우 각 방개 1寸이 舌三鍼.의 염전좌․염전우이다.
(3) 주치(主治) 언어장애, 발음불청, 목쉬여 말못함, 폭음, 삼키지 못함, 유연(流涎:침흘림)
(4) 자구법(刺灸法) 환자로 하여금 뒤로 붙여 바로 앉히고 침관을 설근(舌根) 방향으로 직자한다. 아동진침의 깊이는 0.8寸 좌우로 하고 성인은 1~1.2寸좌우로 한다. 염전수법을 사용하는데 침감이 설근(舌根) 혹 구강(口腔), 협부(頰部)로 확산케 하여 환자로 하여금 인후부등이 발열, 마창(麻脹) 등 감각이 있어야 하며 허보실사(虛補實瀉) 혹은 평보평사해야 한다. 주의할 점은 설삼침의 제2침, 제3침시 진침은 중선(中線) 및 설근으로 사자(斜刺) 해야 한다.
(5) 배오(配伍) 언어장애 혹은 말을 맺지 못하거나 언어발육이 더딘 자는 사신침(四神鍼)을 加하고 풍부(風府)에서 아문(亞門)으로 투자(透刺)한다. 유연자(流延者)는 지창(地倉)에서 협차(頰車)로 투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