建康 散步/지압 카이로

아이들의 침흘림 치료혈은 지창혈(地倉穴)  

초암 정만순 2015. 9. 26. 17:07

 

아이들의 침흘림 치료혈은 지창혈(地倉穴)   


이들이 침을 계속 흘릴 경우 식지를 사용하여 지창혈(地倉穴)을 안마해 주면 치료된다.
  
  

지창(地倉)의 「지(地)」는 지격(地格)을 의미한다고인(古人)들은 얼굴을 세 구역으로 구분하여 삼정(三庭)이라고 칭했다. 코(鼻)의 윗부분은 상정(上庭),코(鼻) 부위는 중정(中庭),코의 아랫 부분은 하정(下庭)이라고 칭했으며 상정을 천격(天格), 중정을 인격(人格), 하정을 지격(地格)이라고 각각 칭했다. 「창(倉)」은 곡물(穀物)을 저장해 두는 창고이다. 비(脾)는 입(口)을 주관하고,비기(脾氣)는 입으로 통하며 비위(脾胃)는 오행(五行) 중 토(土)에 속하고,비는 창름지관(倉廩之官: 곡물 창고지기 관리)의 칭호(稱呼)를 갖고 있다.
  
  지창혈(地倉穴)은 구각(口角)의 외측(外側),동공(瞳孔)의 수직 하방에 자리잡고 있으며
산풍지통(散風止痛) 작용과 서근활락(舒筋活絡)의 공효(功效)가 있다.


지창혈(地倉穴)은「유연(流涎: 침흘림)」을 치료해 준다.  


「연(涎)」이란? 「연(涎)」자(字)를 자세히 살펴보면 왼쪽에「수(水)」자(字)가 있고 오른쪽에 「연(延)」자(字)가 있다. 다시 말하면 "수(水)의 연장(延長)" 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
  
  
수(水)의 연장(延長)이란? 침(口水)을 뜻한다.  



「연(涎)」은 침(口水)의 일 부분이다. 한의학에서 연(涎)과 타(唾)를 합하여 침(口水)이라고 말한다. 「연(涎)」은 침「口水」의 일 부분인데 비교적 묽으며 구강(口腔)을 윤택(潤澤)하게 해주는 작용을 갖고 있다.


《소문(素問)선명오기편(宣明五氣篇)》에 보면 :「五臟化液……涎。」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오장에서 각각 액(液)을 만드는데 비(脾)에서 만드는 액(液)은 연(涎)이다.” 는 뜻이다. 즉 연(涎)은 비(脾)의 액(液)이며 실제로 비기(脾氣)의 외적(外的) 표현(表現)이다. 연은 혀(舌頭)의 양측(兩側)에서 만들어 진다.   


「타(唾)」는 무엇인가?「타(唾)」는 타액(唾液)이다. 《소문(素問)선명오기편(宣明五氣篇)》에 보면 :「五臟化液……唾。」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오장에서 각각 액(液)을 만들어 내는데 신(腎)에서는 타를 만들어 낸다.” 는 뜻이다.


수액(水液)이 신장(腎臟)을 통과하여「타(唾)」가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타(唾)」는 비교적 조점(稠黏)하고 음식물(飮食物)을 소화시켜 준다. 연(涎)과 타(唾)를 합쳐서 구수「口水」라고 칭한다.
   



아이들이 침을 흘리는 것은 정상(正常)이다. 비(脾)는 근육(肌肉)을 주관하고 입(口)으로 개규하며 아이들의 비위는 허약하다. 비(脾)가 허약(虛弱) 할 경우 근육(肌肉)의 탄력성(彈力性)이 부족(不足)하고 이완 상태에 있기 때문에 침을 흘린다.
  


부모들이 아이들의 지창혈을 안마해 주면 치료되는데 지창혈(地倉穴) 외에 합곡혈(合谷穴)을 안마해 주면 더욱 효과가 높다.


임맥상(任脈上)의 승장혈(承漿穴)도 구수과다(口水過多) 문제(問題)를 치료해 준다. 승장(承漿)의 「승(承)」자(字)는 "잇는다" 는 뜻이 있고 「장(漿)」은 입안의 장액(漿液) 또는 연액(涎液)을 일컫는다. 승장혈(承漿穴)은 생진염액(生津斂液) 작용과 서근활락(舒筋活絡)의 공효(功效)가 있기 때문에 유연(流涎)과 치아동통(牙齒疼痛)과 치은홍종(牙齦紅腫)과 소갈(消渴) 증상(症狀)을 치료해 준다. 승장혈은 아랫 입술과 턱 사이에 생기는 도랑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다. 임상(臨床)에서 구수과다증(口水過多症)을 치료해 주는 혈위이다.


지창혈(地倉穴)은 면탄(面癱)과 면근경련(面肌痙攣)과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의 치료에 사용된다.


지창혈(地倉穴)을 안마해 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식지(食指)의 끝을 지창혈에 대고 산창감(酸脹感)을 느낄 때 까지 매차(每次) 200 번 눌러준다. 매일 세 차례 일 주일 동안 실시해 주면 일정한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