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요통 (腰痛) Lumbago

초암 정만순 2015. 8. 2. 08:11

 

요통 (腰痛) Lumbago


1) 腰背痛 參照
2) 신경통 (神經痛) - 요추부(腰椎部), 요배부(腰背部) 등 신경통(神經痛)

 

*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髀關(비관).
足太陰脾經 : 地機(지기).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養老(양노,郄.-急性).
足太陽膀胱經 :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氣海兪(기해수), 大腸兪(대장수), 關元兪(관원수), 小腸兪(소장수), 
中膂兪(중려수), 上髎(상료), 次髎(차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會陽(회양), 委中(위중,合,膀胱(의 下合穴),  肓門(황문), 志室(지실), 胞肓(포황), 飛揚(비양), 跗陽(부양), 崑崙(곤륜,經), 仆參(복삼), 金門(금문,郄).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輸,原), 大鍾(대종,絡-太陽經). 復溜(복류,經), 中注(중주), 肓兪(황수).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五樞(오추,帶脈과 交會), 還跳(환도), 地五會(지오회).
足厥陰肝經 : 陰包(음포).
任脈 : 神闕(신궐), 關元(관원).
督脈 : 腰兪(요수), 命門(명문), 中樞(중추), 神道(신도).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腎虛), 십칠추(十七椎).

 

*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① 委中(위중), 崑崙(곤륜).
                 ② 委中(위중)에 求(구)한다.
2) 足太陽膀胱經 ① 關元兪(관원수), 腎兪(신수), 委中(위중).
                       ② 殷門(은문), 腎兪(신수), 委陽(위양).- 屈伸不利(굴신불리)
                       ③ 委陽(위양), 太白(태백), 陰陵泉(음능천), 行間(행간).- 上同.
                       ④ 委中(위중), 腎兪(신수), 崑崙(곤륜).- 針灸大成
                       ⑤ 志室(지실), 委中(위중). - 腎虛腰痛(신허요통)
                       ⑥ 飛揚(비양), 還跳(환도), 足三里(족삼리), 三陰交(삼음교).
                       ⑦ 跗陽(부양), 風市(풍시), 委中(위중), 行間(행간).
                       ⑧ 崑崙(곤륜), 還跳(환도), 委中(위중).
                       ⑨ 束骨(속골), 飛揚(비양), 承筋(승근).
督脈 : 懸樞(현추), 腎兪(신수), 委中(위중).
項背腰部奇穴 : 腰眼(요안), 腎兪(신수), 委中(위중).
3) 腎虛腰痛 :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 腎兪(신수), 志室(지실).
                   足少陽膽經 - 京門(경문), 腎兪(신수), 委中(위중), 三陰交(삼음교).
4) 腰部 屈伸不利(굴신불리) ① 殷門(은문), 委陽(위양).- 針灸資生經
                                      ② 上次中下髎를 눌러서 몹시 아픈곳에 針刺 - 大成
5) 腰薦椎附 神經痛 - 膀胱兪(방광수).

 

* 針灸大成
1) 刺腰痛論(자요통론)
§ 諸腰痛時(제요통시) 病在左側時 治右側(통재좌측시 치우측), 病在右側時治左側(병재우측시 치좌측)
⑴ 膀胱經出於腰痛(방광경출어요통) : 墜項脊椎(추항척추), 重脊椎與臀部(중척추여둔부)
    處方 : 委中穴(위중혈) 刺針 或瀉血(침자 혹사혈), 崑崙穴(곤륜혈) 瀉血(사혈)한다

              - 春節(춘절)에는 木旺(목왕)하고 水氣衰弱(수기쇠약)하니 瀉血(사혈)을 하지 않는다.
⑵ 膽經出於腰痛(담경출어요통) : 腰部刺痛(요부자통), 屈伸不利(굴신불리), 項部運動不利(항부운동불이)
    處方 : 陽陵泉穴(양능천혈) 瀉血(사혈) - 夏節期(하절기)에는 火旺(화왕)하여 木氣衰弱하므로 여름에는 瀉血하지 않는다.
⑶ 胃經出於腰痛(위경출어요통) : 項部 運動不利(항부 운동불이) 움직이면 움직일 수 있을 것 같고, 슬퍼하기를 잘 한다.
    處方 :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下巨虛(하거허)에 出血(출혈)하면 治愈(치유) 된다.

             - 秋節期(추절기)에는 金旺(금왕)하고 土氣不足(토기부족) 하므로 가을에는 瀉血(사혈)을 하지 않는다.
⑷ 腎經出於腰痛(신경출어요통) : 墜痛脊椎與脊椎內側(추통척추여척추내측)
    處方 : 復溜穴(복류혈) 瀉血(사혈) - 春節期(춘절기)에는 瀉血(사혈)하지 않는다.

             出血(출혈)이 甚(심)하면 발을 디딜 수 없다.

             春節期(춘절기)에는 木旺(목왕) 水氣衰弱(수기쇠약) 하므로 瀉血(사혈)을 하지 않는다.
⑸ 肝經出於腰痛(간경출어요통) : 角弓反張(각궁반장), 活動不利(활동불리).
    處方 : 蠡泃穴(려구혈)을 適當(적당)히 비벼준 다음 治療(치료)한다.
             黙黙不語者(묵묵불어자)는 三痏穴(삼유혈, 寄穴)을 治療(치료)한다.
⑹ 解脈(해맥, 絡脈一種) :
   ① 症狀 : 腰痛墜徹脊椎(요통추철척추), 目昏(목혼), 尿失禁(뇨실금).
       處方 : 委中穴(위중혈) - 色靑或色黑瘀血(색청 혹 색흑 어혈)이 보이는데

                이를 瀉血(사혈)하여 鮮紅色(선홍색)의 血(혈)이 나오면 치려를 끝낸다.
   ② 症狀 : 脇部墜感(협부추감), 腰部絶痛無休(요부절통무휴), 易驚(이경), 易恐(이공). 
       處方 : 발 오금을 보면 結絡(결락)이 되어 수수나 쌀알만 한 黑色(흑색)의 瘀血(어혈)이 있다.

                이를 찔러서 出血시키면 까만 피가 나온다. 그것을 쭉 짜면 赤色血이 이어서 나오는데 그때에 瀉血을 중지한다.
⑺ 同陰脈出於腰痛(동음맥출어요통) : 작은 추가 그 가운데 있는 것과 같이 아프고 갑자기 腫氣(종기)가생긴다.
    處方 : 治同陰脈(치동음맥) - 絶骨(절골), 陽輔(양보), 申脈穴(신맥혈).
⑻ 陽維脈出於腰痛(양유맥출어요통) : 痛症部位(통증부위)가 갑자기 腫起(종기)가 된다.
    處方 : 治陽維脈(치양유맥) - 金門穴(금문혈), 承山穴(승산혈).
⑼ 冲脈出於腰痛(충맥출어요통) : 屈伸不利(굴신불리), 腰伸則驚倒(요신칙경도) - 過勞損傷(과로손상).
    處方 : 委陽穴(위양혈) 或 殷門穴(은문혈) 瀉血(사혈).
⑽ 會陰脈出於腰痛(회음맥출어요통) : 痛症部位汗出(통증부위한출), 乾汗后喜飮(건한후희음), 水飮后喜走行(수음후희보행).
    處方 : 委中穴(위중혈) 瀉瘀血(사어혈), 申脈穴(신맥혈), 承山穴(승산혈).
⑾ 飛陽脈出於腰痛(비양맥출어요통) : 痛症部位(통증부위) 急激痛甚(급격통심) 痛甚則悲 哀或恐怖(통심칙 비애 혹 공포)
    處方 : 筑賓穴(축빈혈).
⑿ 昌陽脈出於腰痛(창양맥출어요통) : 腰痛墜徹胸部(요통추철흉부), 目昏(목혼),

                                                   甚則手足痙攣(심칙 수족경련), 舌强不語(설강불어).
    處方 : 復溜穴(복류혈), 內踝(내과)위 二寸(脾經后) 治左右
⒀ 散脈出於腰痛(산맥출어요통) : (冲脈 或脾經別脈) 身熱(신열), 甚則煩躁(심칙 번조),

                                              腰下提木(요하제목), 甚則尿失禁(심칙 뇨실금), 消瘦(소수).
    處方 : 地機穴(지기혈) 좌우를 치료한다.
⒁ 肉里脈出於腰痛(육리맥출어요통) : 不能咳(불능해), 咳則筋肉萎縮(해칙 근육위축), 痛症加甚(통증가심).
    處方 : 絶骨穴(절골혈)과 膀胱經(방광경) 중간에 있는 肉里之脈(육리지맥)을 治療(치료)한다.
⒂ 症狀

    ① 腰痛時(요통시), 脊椎側部痛症(척추 측부 통증)이 時有頭痛을 유발 目昏(목혼), 痙攣(경련), 不能立身(불능입신) 
        處方 : 委中穴(위중혈)에서 瀉血(사혈).
    ② 腰痛折腰感(요통절요감), 屈伸不利(굴신불리), 不能運動(불능운동).
        處方 : 治膀胱經(치방광경) - 束骨(속골), 京骨(경골), 崑崙(곤륜), 申脈(신맥), 僕參(복삼).
    ③ 腰痛引起(요통인기), 墜痛脊椎內側(추통척추내측).
        處方 : 治腎經(치신경) - 復溜穴(복류혈).
    ④ 腰痛引起(요통인기) 墜痛小腹與側腹部(추통소복여측복부), 不擧腰部(불거요부).
        處方 : 治八髎穴(치팔료혈) 或下髎穴 近部(혹 하료혈 부근)
⒃ 症狀

    ① 腰痛引起 上部冷感 : 治 膀胱經(방광경) 胃經(위경)
    ② 腰痛引起 上部熱感 : 治 肝經(간경)
    ③ 腰痛引起 上部熱感 屈伸不利 : 治 膽經(담경)
    ④ 腰痛引起 中焦熱感 氣喘 : 治 腎經(신경), 委中穴(위중혈) 瀉血
    ⑤ 腰痛引起 上部冷感 項背强幾幾 : 治 胃經(위경)
    ⑥ 腰痛引起 上部熱感 : 治 脾經(비경)
    ⑦ 腰痛引起 中部熱感 氣喘 : 治 腎經(신경)
    ⑧ 腰痛引起 便秘症 : 治 腎經(신경)
    ⑨ 腰痛引起 小腹脹滿 : 治 肝經(간경)

 

2) 腰痛(요통) 五種(5종) : 委中穴(위중혈) - 靈光賦
3) 腰痛(요통) : 陰陵泉(음능천), 陽陵泉(양능천), 申脈(신맥), 照海(조해), 足三里穴(족삼리혈) - 靈光賦
4) 腎虛腰痛(신허요통) 運動不利(운동불리) : 腎兪穴(신유혈) 灸法(구법) - 玉龍歌
5) 腰痛(요통) : 中髎穴(중료혈) - 勝玉歌
6) 腎虛腰痛(신허요통) 小便頻數(소변빈삭) : 腎兪穴(신유혈) - 勝玉歌
7) 腰痛(요통) : 環跳穴(환도혈), 委中穴(위중혈). - 雜病穴法歌
8) 西江月 ① 腰痛으로 일어서기가 어려울 때 
                  處方 : 先刺 - 申脈穴(신맥혈),
                  后刺 - 然谷(연곡), 膏肓(고황), 委中(위중), 腎兪穴(신유혈)을 治療한다.
              ② 寒留(한류)즉 허리와 사타구니가 아플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五處(오처), 委中(위중), 三陰交穴(삼음교혈)을 治療.
              ③ 腎虛腰痛(신허요통)으로 움직이기 어려울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腎兪(신수), 脊中(척중), 委中穴(위중혈)을 治療한다.
              ④ 腰扭傷(요뉴상) : 허리를 삐어서 일어서기가 곤란할 때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脊中(척중), 腰兪(요수), 腎兪(신수), 委中穴(위중혈).
              ⑤ 虛弱(허약)하여 濕滯(습체)로 생긴 腰痛(요통)으로 行動(행동)이 无力(무력)해진 것
                  處方 : 先刺 - 足臨泣穴(족림읍혈),
                  后刺 - 脊中(척중), 腰兪(요수), 腎兪(신수), 委中穴(위중혈)을 治療한다.

 

* 中醫針灸學 腰痛
본증은 요부연조직손상, 筋肉風濕(근육풍습), 脊椎病(척추병)에서 많이 나타난다.

본절에는 寒濕腰痛(한습요통), 勞損腰痛(노손요통)과 腎虛腰痛(신허요통)을 중점으로 서술한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寒濕腰痛(한습요통)
證狀 : 腰冷痛(요냉통)으로 허리가 무겁고 시큰하며 저리고 運動不利(운동불리)하며, 땅기고 아파서 屈伸不利(굴신불리)하고, 
腰痛(요통)이 臀部(둔부)와 大腿部(대퇴부) 까지 뻗치므로 누워 있어도 痛證(통증)이 减少(감소)되지 않고  氣候(기후)가 차거나 흐리고 비오면 痛證(통증)은 더욱 甚(심)해진다. 舌苔白膩(설태백니), 脈沉濡 (맥침유)하다.
配穴 : 風府(풍부), 腰陽關(요양관).
方義 : 風府(풍부)는 祛風散寒(거풍산한)하며 腰陽關(요양관)과 함께 督脈에 속하며 모두 陽氣를 宣導(선도)하는 작용이 있다.

 

2) 勞損腰痛(노손요통)
證狀 : 허리를 다친 지 오래 되거나 혹은 오랜 腰痛이 過度하게 疲勞하면 嚴重(엄중)해지며 허리가 强直酸痛(강직산통)하고, 
痛處固定(통처고정)이며, 屈伸回轉不利(굴신과 회전이 불이)하고, 舌質或有瘀班(설질혹유어반), 脈沉澁(맥침삽).
配穴 : 膈兪(격수), 次髎(차료).
方義 : 膈兪(격수)는 血(혈)의 會穴(회혈)이며 次髎(차료)와 합하여 膀胱經氣(방광경기) 를 通(통)하며

         活絡行瘀(활락행어)로 허리 筋肉損傷(근육손상)을 治療(치료)한다.

 

3) 腎虛腰痛(신허요통)
證狀 : 徐徐히 發生(발생)되며 늘늘히 항상 아픈 것이 腰部酸痛(요부산통)을 爲主(위주)로 하고

         다리와 무릎이 无力(무력)하며 疲勞(피로)하면 甚(심)해지고 누워있으면 輕(경)해진다.
더불어 ⑴ 腎陽虛(신양허) : 疲勞(피로), 面色蒼白(면색창백), 手足冷(수족냉)하고 舌淡(설담), 脈沉細(맥침세).

          ⑵ 腎陰虛(신음허) : 虛煩(허번), 面紅(면홍), 手足心熱(수족심열), 舌紅赤(설홍적), 脈細數(맥세삭).
配穴 : 命門(명문), 志室(지실), 太谿(태계).
方義 : 命門(명문)에 灸(구)하고
         志室(지실)을 補(보)하여 溫補腎陽(온보신양)하고 
         太谿(태계)는 足少陰經(족소음경)의 原穴(원혈)인데 臟病(장병)은 原穴(원혈)을 取(취)해야 한다는 뜻이다.
主穴 : 腎兪(신수), 委中(위중), 局部穴(국부혈) 혹은 阿是穴(아시혈).
方義 : 腎兪(신수)를 取(취)하여 腎氣(신기)를 補益(보익)하면 腰肌强直(요기강 직)을 治療(치료)하고,

         委中(위중)을 取(취)하여 足太陽經氣를 疏通하는데 이는 허리와 背部(배부)의 疼痛(동통)을 치료하는 要穴이다.
         局部穴(국부혈)과 阿是穴은 近部取穴(근부취혈)에 속하는데 通經活絡(통경활락)과 止痛作用(지통작용)이 있다.
☞ 秘方 : 腎虛腰痛(신허요통)-京門(경문), 腎兪(신유), 委中(위중), 三陰交(삼음교).

 

* 舍岩道人針灸要訣
1) 項脊如錘(항척여추) : 모가지(項部)와 등성마루뼈(大椎穴處) 쇠덩어리를 속에 넣고 누르는 것 같은 症
處方 : 膽傷(담상) - 通谷(통곡), 俠谿(협계) 補, 
         商陽(상양) 竅陰(규음) 瀉.
2) 筋骨如折(근골여절) : 筋骨(근골)을 잡아 꺾는 것 같은 痛症(통증)
處方 : 大腸傷(대장상) -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 
         陽谿(양계) 陽谷(양곡) 瀉.
3) 屈伸刺痛(굴신자통) : 屈伸(굴신)하면 찌르는 것 같은 痛症(통증)
處方 : 腎傷(신상)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4) 張弓弩弦(장궁노현) : 머리가 발에 닿을 만큼 꾸부러진 症狀
處方 : 肺傷(폐상)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5) 病源(병원)과 證治槪論(증치개론)
杏坡按(행파안) :

腰(요)라 함은 신체의 兩側空處(양측공처) 즉 肋骨(늑골)과 髀骨(비골) 사이를 通稱(통칭) 함인데

屈伸(굴신)의 關要(관요)가 된다하여 腰(요)라 한 것이며 腰痛(요통)은 혹은 六淫(육음)릐 外感(외감)으로,

혹은 色欲(색욕)의 內傷(내상)에 의하여 基因(기인)하는 것이나 대체로 內傷(내상)이 많고 外感(외감)이 적다.
假令(가령) 腎臟(신장)의 眞氣(진기)가 제대로 布護(포호)된다면 六淫(육음)의 氣(기)가 어찌 能(능)히 害(해)가 될 것이랴 오직 腎臟이 虛傷(허상)하여 帶脈(대맥)의 氣가 獨足(독족)하지 못하므로 邪(사)가 손쉽게 틈을 타 들어가서 痛(통)이 되는 것이다.

辨之(변지)의 법은 아플 때에 悠悠不止(유유불지)하고 乏力--軟(핍력--연)한 것은 房欲(방욕)에 의한 傷腎(상신)이오 잔허리가 잡아 뽑는 것 같고, 四肢(사지)가 倦怠(권태)한 것은 勞力(노력)에 의한 傷氣(상기)이요,

얼굴이 시커멓고 허리가 꼿꼿해서 오래 서있지 못하는 것은 失志傷心(실지상심)이며,

飮食(음식)이 不能(불능)한 것은 憂思傷脾(우사상비)로 脾氣(비기)의 不行(불행)이고,

脇腰(협요)가 脹悶(창민)하고 筋弛白淫(근이백음)한 것은 鬱怒傷肝(울노상간)이나 腎肝(신간)이 同系(동계)이므로 冷痛沈重(냉통침중)하며 날이 우직하면 發(발)하는 것은 濕(습)이요,

足冷背强(족냉배강)하여 洒浙拘急(쇄절구급)한 것은 寒이고, 좌우를 牽連(견연)하여 脚膝(각슬)이 强急(강급)한 것은 風이며, 왼몸의 俯仰(부앙)이 不能(불능)하고 動搖(동요)하여 轉側(전측)이 불능한 것은 閃挫(섬좌, 빈것)요 有形作痛(유형작통)하며, 皮膚(피부)가 淸白(청백)한 것은 痰(담)이요, 无形作痛(무형작통)하여 脹滿連腹(창만연복)한 것은 氣(기)요, 便閉尿赤(변폐뇨적)하며 煩躁口渴(번조구갈)한 것은 膏粱(고량)의 積熱(적열)이요, 晝輕夜重(주경야중)하고 便黑尿淸(변흑뇨청)한 것은 跌損(질손)의 血瘀(혈어)이며, 其他(기타) 脈(맥)이 大(대)한 것은 腎虛(신허) 이고, 澁(삽)한 것은 瘀血(어혈)이며, 緩(완)한 것은 濕(습)이고, 滑(활)한 것은 痰 (담) 이며, 緊(긴)한 것은 寒(한)이다.

浮而弦(부이현)한 것은 風(풍)이고, 沉而實(침이실)한 것은 閃肭(섬눌)이다.

 

6) 舍岩(사암)의 經驗方(경험방)
大凡(대범) 腰痛(요통)은 모두 膀胱當瀉(방광당사)에 關聯(관련)되는 것이거늘 時醫(시의)들이 腰痛(요통)을

다스린다는 자가 모두 補瀉法(보사법)을 알지 못하고 다만 委中(위중)을 刺(자)하고, 혹은 崑崙(곤륜)을 刺(자)하여 혹 낫기도 하고 혹 안 낫는 것은 허물을 모두 病者(병자)의 調理(조리)와 家庭(가정)의 供饋(공궤)에 돌려보내고 肺, 腎, 膽, 大腸의 部分(부분)을 區別(구별)하여 다스릴 줄을 알지 못하니 한탄한들 뭐할까보냐 腰痛(요통)은 커녕 혹은 瘰癧(라력)이 생겨서 肩前陷中(견전함중)으로부터 耳珠下(이주하)에 이르기까지 貫珠狀(관주상)을 成한 것이라도 三里(삼리), 曲池(곡지) 補(보), 陽谿(양계) 陽谷(양곡)을 瀉(사)하는 大腸正格(대장정격)을 낫지 않는 자가 없더라.

1) 瞳子(동자) 하나가 年十餘(연십여)에 오른 다리를 절고 踝骨(과골) 아래가 돌아가면서 俊痛(준통)하며,

    좌우 귀밑에 큰 結核(결핵)이 十餘(십여)이며, 小者(소자)가 不計其數(불계기수)인데 대부분이 大膓分野(대장분야)에 있으며 兩眼黑睛(양안흑정)에 紅白絲狀物(홍백사상물)이 亂散(난산)하기를 안개와 같거늘

    大膓正格으로써 治(치) 하였더니 四五度(사오도)에 快愈(쾌유)하더라.
2) 한 남자가 年十餘에 第七八椎(제칠팔추) 요추(腰椎)가 구부러지기 주먹과 같아서 行步(행보)할 적에는 兩手(양수)로 
무릎을 짚은 지가 벌써 十年有餘(십년유여)러니 一針客(일침객)의 壯談(장담)하는 者가 있어서 委中을 刺한 후부터 담박(단번에) 仰臥不起(앙와불기)하며 兩脚(양각)을 뻗고 구부리지 못하며 부드럽기가 힘줄이 없는 것 같으며 中封穴(중봉혈) 近處(근처)를 만진즉 戰掉搖搖(전도요요)하거능 내가 처음에는 筋痿(근위)인가 疑心(의심)하여 肝經正格(간경정격)을 썼더니 數月后(수월후)에 眼熱(안열)이 猝發(졸발)하고 脣口(순구)가 糜爛(미란)하며 兩眼黑白睛上(양안흑백정상)에 團團(단단) 붉고 검은 것이 각각 3~4개씩 生起(생기)어 視物(시물)이 不得(불득)하는지라

    肺正格(폐정격)을 用(용)하기 數度(수도)에 兩眼(양안)이 如常(여상)하고, 兩脚(양각)을 겨우 屈伸(굴신)하며   腰上起骨(요상기골)이 小减(소감)한 것 같더니 不可避(불가피)한 事情(사정)이 있어 계속 치료하지 못하고  같다하더라 아까운 것은 度數(도수)를 채우지 못한 것이 恨(한)이다.
3) 한 부인이 항상 腰痛(요통)의 苦(고)로 먹지도 못하고, 全身(전신)에 浮氣(부기)가 있는데 頭, 面(두,면)이 尤重(우중)하며 
癮疹(은진)이 生(생)하고 혹은 腹痛(복통)이 있는 지라 大腸(대장)의 虛(허)임으로 大膓正格(대장정격)을 썼더니 諸證(제증)이 快差(쾌차)하더라.
4) 한 남자가 年五十에 腰痛과 함께 右脚(우각)이 无力(무력)한지라 任意(임의) 屢年(루년)이려니

    項部(항부)를 診察(진찰)한 결과 大膓分野에 結核(결핵)이 있음으로 大膓正格을 썻더니 數度(수도)에 낫더라.
5) 한 부인이 第九腰椎가 구부러지고 일어나면 前后陰(전후음)이 땅기고 아프며 양쪽 環跳以下(환도이하) 오금(膕(괵)위가

    刺痛不仁(자통불인)하며 龜背(구배)가 되어 張弓弩弦(장궁노현)한지라 肺經正格을 쓴 결과 諸痛(제통)이 盡除(진제) 하고  椎曲(추곡)이 반쯤 퍼졌더니 側近者(측근자)의 詛毁止挽(저훼지만)으로 數度(수도)를 진행했으나  未盡(미진)한 까닭에 快效(쾌효)를 보지 못하였으니 可惜(가석)한 일이다.
6) 한 남자가 年近六十에 龜背(구배, 곱추)를 患(환)하여 입맛이 쓰고 먹지를 못하며, 胸中(흉중)이 찢어지는 것 같고 
똑바로 서면 身長(신장)이 平日(평일)에 半(반)에 不過(불과)한지라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少府 魚際 瀉 하였더니

    三度(삼도)에 行步(행보)가 自若(자약)하고, 其背(기배)가 平日(평일)에 비하여

    少異(소이)할 뿐이려니 하여 다시 六七度(육칠도)에 快痊(쾌전)하였다.
7) 한 남자가 年二十(연이십)에 龜背(구배)를 患(환)하기 시작하여 나이를 먹음에 따라 더욱 甚(심)한지라

    肺經正格(폐경정격)을 썼더니 一度(일도)에 반쯤 펴지고 仰臥(앙와) 하면 등에서 折骨聲(절골성)이 나더라
8) 내가(舍岩自身) 少時로부터 隱隱(은은)히 腰痛이 있고 혹 換節期(환절기)에는 左右手臂(좌우수비)가 水腫(수종)과 같았다가

    혹 二三月(이삼월)에 풀리기도 하고 혹은 四節(사절)을 풀리지 않기도 하며 혹은 가을이면 尤劇(우극)하여

    胸背(흉배)가 瞀重(무중)하고 上腹이 如飽(여포)하며, 耳鳴이 大作(대작)하고 때로는 肅然(숙연)히 잠이 드나  때로는 恐怖證(공포증)을 느끼거늘 널리 藥肆(약사)에 물었더니 혹은 內重(내중)이라고도 하고,

    혹은 心火라고도 하여 百口(백구)가 異說(이설)하고, 한사람도 大膓證候(대장증후)인 것을 말하는 사람이 없더라!

    시체 사람들이 잘못 虛勞(허로)라 指稱(지칭)하여 생명을 버리는 자가 十常八九(십상팔구)로 이것이 大腹(대복)의 虛이다.

    나의 三弟(삼제)와 長姪(장질)이 모두 이것으로써 그릇 쳤다.

    何故(하고)아 母胎不足(모태부족)과 痘經(두경)의 餘熱(여열)로 혹은 項核(항핵)이 되고, 혹은 喉熱(후열)이 되며, 혹은 입이 마르고 재채기를 잘 하고, 혹은 脇腋(협액)이 아프며, 혹은 疝氣(산기)도 되고,

    혹은 風疾(풍질)도 되며, 혹은 噎膈(열격)도 되고, 혹은 眼疾(안질)도 된다.

    此等諸證(차등제증)은 이른바 禀賦不足(품부부족)으로서 가장 恨(한)되는 것은 晩覺(만각)이다.

    經閱(경열)이 아니면 如神(여신)한 此理(차리)를 엇지 알까보냐!

 

* 이침(耳針)
1) 外生殖器(외생식기), 腎(신).
2)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 上耳背(상이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