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통(脇痛)의 변증 및 침구치료
협통(脇痛)은 일측(一側) 또는 양측(兩側)의 협늑부동통(脇肋部疼痛)을 말한다. 협통(脇痛)은 간담질환(肝膽疾患)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간주소설(肝主疏泄), 담(膽)은 중정지부(中精之府)로 담즙(膽汁)을 저장한다. 간기울결(肝氣鬱結), 기체혈어(氣滯血瘀), 간담습열(肝膽濕熱)의 세가지 증상은 실증(實證)이며 간음부족(肝陰不足)은 허증(虛證)이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실증(實證)
① 간기울결(肝氣鬱結) : 정지억울(情志抑鬱) 혹은 폭노상간(暴怒傷肝)하며 소설불리(疏泄不利), 경락조체(經絡阻滯)로 협통이 발생한다.
② 기체혈어(氣滯血瘀) : 간기울결(肝氣鬱結), 기체혈어(氣滯血瘀), 어혈유체(瘀血留滯)등으로 협통이 발생한다.
③ 간담습열(肝膽濕熱) : 습열지사(濕熱之邪)로 적습생열(積濕生熱)하면 협늑작통(脇肋灼痛)한다.
B. 허증(虛證)
① 간음부족(肝陰不足) : 구병불유(久病不癒) 혹은 노욕과도(勞慾過度)로 정혈이 휴손(虧損)되고 간혈(肝血)이 부족(不足)되면 협통이 발생한다.
⑵ 변증(辨證)
A. 실증(實證)
①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 협늑창통(脇肋脹痛), 흉민(胸悶), 애기(?氣), 식욕부진(食慾不振), 구고인건(口苦咽乾), 태박백(苔薄白), 맥현(脈弦).
② 기체혈어증(氣滯血瘀證) : 협늑자통(脇肋刺痛), 밤에는 더 심하고, 통처고정 (痛處固定), 통처거안(痛處拒按), 맥침삽(脈??).
③ 간담습열증(肝膽濕熱證) : 협늑창만(脇肋脹滿) 혹은 오한발열(惡寒發熱), 흉민납매(胸悶納?), 구고(口苦), 신황(身黃), 요황(尿黃), 맥활삭(脈滑數).
B. 허증(虛證)
① 간음부족증(肝陰不足證) : 협늑은통(脇肋隱痛), 구건심번(口乾心煩), 목현(目眩), 맥세삭(脈細數).
⑶ 치료(治療)
A. 실증(實證)
- 치법 : 족궐음, 족소양경위주, 침자사법(鍼刺瀉法)으로 소간해울(疏肝解鬱), 이기지통(理氣止痛)한다.
- 처방 : 기문(LR14), 지구(SJ6), 양릉천(GB34).
- 수증배혈 : 간기울결(肝氣鬱結) - 태충(LR3).
기체혈어(氣滯血瘀) - 격유(BL17), 삼음교(SP6).
간담습열(肝膽濕熱) - 일월(GB24), 중완(RN12), 협계(GB43).
- 방의 : 기문은 간의 모혈, 태충은 간의 원혈로 배합운용하면 소간해울(疏肝解鬱)된다.
양릉천과 지구는 동명경(同名經) 취혈법으로 소양경기를 소통시킨다.
4혈 합용하면 소간해울(疏肝解鬱), 이기지통(理氣止痛)한다.
격유는 혈회혈(血會穴)로 三陰交와 상배하면 활혈화어(活血化瘀)한다.
일월은 담의 모혈이고 중완은 부회혈(腑會穴)로 이 2혈과 담의 형혈인 협계와 상배하면 간담의 습열을 청설(淸泄)시킨다. 만약 발열이 있으면 곡지와 합곡을 가한다.
B. 허증(虛證): 간기부족(肝氣不足).
- 치법 : 궐음과 배유혈 위주로 자보간신(滋補肝腎), 유간지통(柔肝止痛)한다.
- 처방 : 내관(PC6), 백회(DU20), 간유(BL18), 비유(BL20), 신유(BL23), 삼음교(SP6), 구허(GB40).
- 방의 : 내관은 수궐음 낙혈로 궐음경기를 소통시키며 흉협동통을 치료하는 요혈이다.
백회는 독맥으로 족궐음과 상회(上會)한다.
간유, 신유는 간신을 보익하며 비유, 삼음교는 익생화지원(益生化之源)이며 구허는 서간이담(舒肝利膽)한다.
'病症別 鍼處方 > 근골격계(요 상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락침의 침구요법 (0) | 2015.01.20 |
---|---|
위증(萎證)의 변증 및 침구치료 (0) | 2015.01.19 |
요통(腰痛)<부:좌골신경통>의 변증 및 침구치료 (0) | 2015.01.19 |
痺證(부:견관절주위염)의 변증 및 침구치료 (0) | 2015.01.19 |
雙針恢短刺로 第3腰椎 橫突綜合? 治療한 例 (0) | 201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