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삼침 배혈법
1. 四神鍼
1) 조성 : 백회의 전후좌우 각 1.5촌
- 소아의 동신촌은 1.5촌이 기본이고(비율상 소아의 머리가 크기 때문에) 성인은 1촌이 합당하다.
2) 배혈치료 : 지능저하, 치매, 두통, 현훈
3) 자침 방법
- 모두 바깥쪽으로 평자 : 지능자애, 腦癱, 자폐증, 산만증, 현훈 등
- 모두 백회 방향으로 평자 : 癲癎, 불면증, 건망증
- 모두 환부쪽으로 평자 : 중풍편탄과 지체감각이상인 환자에게 많이 사용
- 비염을 치료할 때, 사신1침(=전정)은 앞쪽으로 평자하고 사신2침(=후정)은 뒤쪽으로 평자하며, 좌우 양혈이 通天을 향하도록 평자한다.
2. 智三鍼
1) 조성 : 신정, 좌우 본신(2/3-1/3)
2) 배혈치료 : 지능저하, 정신장애
3) 임상심득
- 저자는 본혈로 불면증, 두통, 우울증, 산만증, 자폐증과 같은 정신계통의 질병을 치료하는 것을 매우 선호한다.
- 병세에 따라 침첨이 인당이나 백회를 향하도록 한다. 연피자한다. 1.5촌까지 깊이 도달할 수 있다.
- 환자가 눈을 감고 마음을 가라앉히면 시술자는 관찰하고 침을 놓는데, 침이 혈을 대할 때 정신을 집중하여 進鍼하고 守神하면서 轉鍼한다. 進鍼시에 괜한 말을 하거나 농을 거는 행위는 옛사람들이 물려준 침법의 정수를 잃을 수도 있는 잘못된 행동이다.
3. 腦三鍼
1) 조성 : 뇌호혈, 좌우 뇌공혈(2.25촌)
2) 배혈치료 : 지체활동장애, 신체 불균형, 후두통
3) 임상심득
- 소뇌질병이 야기하는 운동의 실조를 치료할 수 있다.
- 일부 지능장애 아동은 시력장애를 수반하는데, 뇌삼침을 통한 치료 이후에 효과가 분명하고, 과거에 문제가 되었던 안저병변에도 뇌삼침을 배합하여 치료할 수 있다.
- 뇌호 : 후두통이나 항강통 등과 같은 후뇌병변은 대부분 본혈을 취하고, 수족진전에도 본혈을 취한다.
- 뇌공 : 淸頭明目 작용이 있다. 침첨은 아래를 향하여 평자한다.
4. 舌三鍼
1) 조성 : 염천혈, 좌우 0.8촌 떨어진 두 혈
2) 배혈치료 : 언어장애, 불확실한 발음, 벙어리, 流涎, 呑咽장애
3) 조작방법
- 염천혈 : 설골상연 함몰부 가운데에서 설근 방향으로 0.8~1촌을 자침한다. 1촌쯤 놓아도 위험하지 않다. 염전법 혹은 괄침(刮鍼)하는 수기법을 사용하고 유침하지 않는다.
4) 임상심득
- 저자가 진료하였던 뇌탄, 지능장애 아동은 대부분 언어의 개선에 빠른 효과를 보였다.
5. 顳三鍼
1) 조성 : 솔곡 위 0.5촌 위치(이첨 직상의 발제 위로 2촌), 앞뒤로 방개 1촌
2) 배혈치료 :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뇌외상으로 인한 반신불수, 편두통, 파킨슨병, 뇌위축, 노년 치매 등
3) 조작방법
- 아래를 향하게 자침한다. 비스듬히 골막에 가까이 자침할수록 자극이 강해진다.
- 혈관과 신경이 풍부하여 특별히 민감하고 침감이 매우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가 견딜 수 있는 정도로 깊이와 각도를 조정해야 한다.
- 酸感, 麻感, 脹感을 좋게 해야 한다.
4) 임상심득
- 섭삼침은 간담 경락의 기혈을 유통시키고 平肝息風·淸肝瀉膽하며 少陽承發之機를 강화하고 중풍후유증 환자의 회복을 유리하게 한다.
- 지체의 운동장애와 감각장애를 모두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
6. 定神鍼
1) 조성 : 인당 위 0.5촌, 양쪽 양백 직상으로 0.5촌
2) 배혈치료 : 주의력 산만, 사시, 전액두통, 안구진전, 현훈, 시력저하
3) 조작방법
- 환자가 반듯하게 눕거나 혹은 앉은 자세에서 국부피부를 집어 올려 수직으로 위쪽부터 아랫방향으로 대략 0.3~0.5촌을 평자한다.
- 침을 놓은 후 침첨이 비스듬히 표피 방향으로 들어가면 침감이 비교적 약하나, 액골로 향하면 침감이 강하다.
4) 임상심득
- 정신을 안정시키고 집중하는 작용을 한다.
- 양백혈은 담경의 혈위이며(간담표리) 두 눈 위에 위치하여 안신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7. 暈痛鍼
1) 조성 : 사신침, 인당혈, 태양혈
2) 배혈치료 : 두훈두통, 두정통, 편두통, 전액통
3) 조작방법
- 태양혈은 직자법 혹은 사자법을 시행한다. 일정한 심도에서 침감이 눈 안쪽을 향하거나 눈 위에서 흩어지는 것이 좋다. 만약 딱딱한 물건에 닿는 느낌이 나면 침첨이 섭골에 도달한 것이니 침을 뒤로 2分 정도 퇴침한다.
8. 面肌鍼
1) 조성
- 안검경련 조합 : 사백혈, 하안검의 아시혈
- 구근경련 조합 : 지창혈, 구화료혈, 영향혈
2) 배혈치료 : 안근 경련, 구근 경련
3) 조작방법
- 사백혈 : 침첨이 병변부위를 향하여 좋는 것이 좋다. 수직으로 놓아도 괜찮다.
- 하안검 아시혈 : 자극이 적당하면 병증이 즉시 해소되니 굳이 강한 자극을 지나치게 줄 필요가 없다.
- 지창 : 협거를 향하여 0.5~0.8촌 횡자하며 근육층에 있도록 하여 침감을 비교적 강하게 해준다. 다만 근육층을 뚫고 구강까지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한다.
- 구화료혈 : 하관을 향하여 0.8촌을 평자한다.
- 전침을 시도할 수 있는데, 경련의 빈도가 낮다면 강도를 더욱 작게 하여 국부에 전류의 자극을 덜 느끼게 하거나 근육이 뛰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4) 참고 (침구과 진료 매뉴얼,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침구과)
- 안면신경 주위의 혈관압박으로 인해 안면경련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외과적 요법으로 안면신경에 밀착되어 있는 혈관을 제거하거나 공간을 확보하는 처치를 한다. 중상이 심한 경우 수술적 요법 후에 80% 정도의 환자에서 효과를 나타내어 비교적 수술요법이 효과적인 질환이라고 볼 수 있다.
- 안면 경련의 양상이 시간이나 자극 컨디션에 따라 증세의 증감이 있는 경우 침치료 및 한약치료 등 한방치료를 꾀할 수 있다.
9. 叉三鍼
1) 조성 : 하관혈, 아시혈(어요, 양백, 사백, 대영), 태양혈
2) 배혈치료 : 삼차신경통
3) 조작방법
- 하관 : 반듯하게 누워 1~1.2촌 직자한다. 30분 이상을 유침하고 5분마다 염전법을 한 차례 행하며 중간 정도의 자극을 준다. 전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작그의 정도는 환자가 참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약 40분 정도 유침한다.
4) 임상심득
- 제1지통은 어요혈과 양백혈을 선혈하여 두 혈을 투자할 수 있다.
- 제2지통은 사백혈을 선혈하여 귓볼을 향하여 사자한다.
- 제3지통은 대영혈을 선혈하여 귓불을 향하여 평자한다.
- 통점에 근거하여 經을 따라 선혈한다. (예로 합곡, 내정 등)
10. 面癱鍼
1) 조성
- 액검탄(額瞼癱)의 조합 : 양백혈, 사백혈, 태양혈
- 구면탄(口面癱)의 조합 : 예풍혈, 영향혈, 지창혈, 수구혈
2) 배혈치료 : 안면신경탄탄, 중풍구안와사
3) 조작방법
- 예풍 부위에 압통을 찾아 자침한다. 침자의 심도는 환자가 분명한 산·마·창을 느끼는 것으로 기준으로 한다. 수법은 과할 필요가 없으며 안면신경의 손상을 가중시키는 것을 피해야한다.
- 양백혈에 침자할 때 아랫방향으로 평자하고 어제혈을 향하여 투자할 수도 있다.
- 수구혈은 직자하지 않는다.
4) 임상심득
- 안면신경이 얼굴로 나오는 곳은 예풍혈이다. 이곳을 먼저 자침한다.
- 지창은 협거로 투자하고 영향혈을 추가하여 제1조합을 형성하여 구각와사에 치료를 꾀한다.
- 별도로 양백혈, 사백혈, 태양혈을 제 2조합으로 형성하여 눈이 감기지 않는 것 치료를 꾀한다.
11. 突三鍼
1) 조성 : 수돌혈, 부돌혈, 천돌혈
2) 배혈치료 : 갑상선종대, 갑상선낭종
3) 조작방법
- 수돌, 부돌 : 피부를 따라 기관을 향해 0.5~0.7촌을 사자한다. 침자 시에 동맥과 갑상선체를 피해야 한다.
- 천돌 : 0.2~0.3촌 직자를 한 후 흉골병의 후연을 따라 천천히 아래를 향해 0.5~1촌 자입한다.
4) 임상심득
- 수돌혈은 양명수곡의 기가 뚫고 나온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通利降逆의 작용이 있고, 주로 치료하는 병증은 氣分에 속하기 때문에 咳逆上氣, 咽腫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12. 眼三鍼
1) 조성 : 안1침(정명혈 위 1分), 안2침(승읍혈), 안3침(眶上緣과 안구 사이에 해당)
2) 배혈치료 : 시신경위축, 시망막염, 황반변성, 약시 같은 內眼 질병
3) 조작방법
- 환자는 눈을 감고, 시술자는 왼손으로 가볍게 안구를 침을 놓고자 하는 반대방향으로 밀어 고정하고 오른손으로 수직으로 천천히 1~1.2촌 자침한다. (15mm 이내가 좋다.)
- 침을 놓은 후 염전과 제삽을 금지하고, 혈관을 찌르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도록 해야한다.
- 침을 놓게 전 침체가 곧은지 확인한다.
- 침을 넣을 때 빈 곳에 넣는 느낌이 들면 방향을 조정하여 안구 근육을 따라 자입하도록 한다. 비교적 분명한 저항감을 감지하며 자침할 수 있을 것이다.
- 발침 후 3분 정도 부드럽게 압박을 하고, 혹시 약간의 출혈점이 있더라도 놀라지 않아도 된다.
4) 임상심득
- 중증의 안질환을 치료할 때 반드시 선택해야하는 조혈이다. 그러나 증상이 가벼운 안질에 위험을 감수하고 자침할 필요는 없다.
- 안압이 높은 환자에게 자침을 신중히 고려한다.
- 안1점은 정명혈보다 안전하다.
13. 鼻三鍼
1) 조성 : 영향혈, 상영향혈, 인당혈
2) 배혈치료 : 과민성비염, 급성비염, 비두염, 코피, 후각장애
3) 조작방법
- 영향혈 : 침첨이 비익부를 향하도록 하고 0.3~1.5촌을 사자한다. 침을 놓은 후에 대폭적으로 염전제삽 하지 않는다.
- 상영향혈 : 침첨이 아래나 위를 향하도록 0.3~0.5촌을 사자한다.
- 인당혈 : 국소의 피부를 집어 들어, 피부를 따라 수직으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평자하여 비근부에 도달하게 하는데, 약 0.3~0.5촌을 자침한다.
4) 임상심득
- 코가 막혀 통하지 않는 여러 질병을 치료하는 중요한 조혈이다.
- 인당혈은 저자가 神志, 정신과 관련된 질병에 많이 활용하는데, 불면증과 다몽, 우울, 초조, 산만증, 자폐증 등 매번 백회, 신정과 배합하여 활용한다. 세 혈 모두 독맥에 있고 하나의 선으로 관통하니 ‘醒神三穴’이라고 한다.
14. 耳三鍼
1) 조성 : 청궁혈, 청회혈, 완골혈
2) 배합치료 : 이롱, 이명
3) 조작방법
- 청궁, 청회 : 입을 벌려 침을 천천히 1~1.2촌 직자한다. 침을 놓은 후 환자의 입을 닫게 한다.
- 완골 : 1~1.2촌 자침한다. 너무 깊은 곳에 놓아 동맥을 건들이지 않도록 유의한다.
4) 임상심득
- 청궁, 청회에 심자하여야 비교적 효과가 있다. 환자가 통감을 호소하면, 잠시 조금 정지하셨다가 계속해서 침을 1.2촌쯤까지 놓아야한다.
'鍼灸 小考 > 근삼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脱三針(탈삼침) : 중풍탈증-얼굴창백, 사지궐냉, 다한 (0) | 2020.05.12 |
---|---|
闭三針(폐삼침) : 구급혈, 혼절, 중풍 (0) | 2020.05.12 |
阴三針 (0) | 2018.01.15 |
阳三針 (0) | 2018.01.15 |
尿三針 (0) | 2018.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