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 遺跡 /문화재 유적

우물마루

초암 정만순 2017. 10. 18. 22:21




 
 

        우물마루


우물마루  

     

우물마루

우물마루, 화성 정용채 가옥의 우물마루. (사진 ⓒ 김왕직)

개설

마루의 형식이 우물정(井)자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우물마루라고 지칭한다.

마루(抹樓)는 한자로 청(廳)이라고 쓰며 한글 발음대로 한자에서 차음하여 ‘抹樓’라고도 표기한다.

마루의 종류는 모양에 따라 우물마루와 장마루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규모와 쓰임에 따라서는 대청마루, 툇마루, 누마루, 쪽마루, 들마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용

중국과 일본에서는 장마루가 보편적이라면 한국은 우물마루가 일반적이다.

한국에서도 장마루 사례는 있으나 극히 드물고, 대개 우물마루로 한다.

우물마루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유례가 없으므로 한국만의 특징적인 마루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물마루를 깔기 위해서는 먼저 기둥과 기둥 사이에 긴 장선을 건너지르는데 이를 장귀틀[長耳機]이라고 한다.

그리고 장귀틀 사이에는 다시 일정한 간격으로 장선을 건너지르는데 이를 동귀틀(童耳機)이라고 한다.

동귀틀 옆에는 길게 홈이 파고 여기에 마루청판(抹樓廳板)을 끼워 마감한다.

마루청판은 목재의 변재부분을 이용하여 윗면만 대패로 다듬고 아랫면은 피죽이 붙은 채로 사용하면 튼튼하다.

나무는 수축과 이완 등의 변형이 적은 널안 쪽을 위로 오게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마루청판은 마루 널이라고도 하며 반턱쪽매를 내어 동귀틀의 홈에 끼워 맞춤한다.

동귀틀을 걸때는 완벽하게 수평으로 걸면 마루청판이 잘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미세하게 사다리꼴로 걸고 넓은 쪽부터 시작하여 좁은 쪽으로 마루 널을 밀어 넣어서 맞춘다.

따라서 마루청판은 모두 자기의 고유 위치를 갖는다.

동귀틀은 한쪽에 계속 넓은 쪽을 둘 수 없기 때문에 사다리꼴의 좌우를 교대로 배치한다.

의의와 평가

우물마루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건조수축이 심한 한국적 기후에 적합한 마루형식이다.

나무가 말라 마루청판 사이가 벌어지면 마루를 다 뜯지 않아도 한 장 한 장 촘촘히 밀어 넣고 한 장 더 보강해 넣으면 되는 효율적인 마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