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형침임상 - 능형근 손상, 견배통 평형침임상 - 능형근 손상, 견배통 o 주치료 혈: 경통혈 - 배합: 견통혈, 심병혈 o 특징: 목을 갑자기 뒤로 심하게 젖히거나 두 팔을 갑자기 위로 올리는 동작으로 척추극돌기와 견갑골을 연결하는 능형근(菱形筋)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증상이다. - 고황 일직선상 통증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4
평형침임상 - 늑연골염, 티지증후군 평형침임상 - 늑연골염, 티지증후군 o 주치: 좌측은 심병혈, 우측은 간병혈 - 배합: 유선혈, 강지혈 o 특징: 외상, 타박상, 장기간 흉벽 피로 등으로 발생하는 늑연골의 퇴행성 병증이다. 붓기, 압통이 있으며 주로 2-4 늑골에서 자주 발생한다. o 치료기간: 매일 1번씩 1차 치료과정 (1개월)을 ..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4
평형침임상 - 낙침 (stiff neck) 평형침임상 - 낙침 (stiff neck) o 주치: 경통혈 - 배합: 견통혈 o 특징: 수면자세 불량 또는 베개 높이 부적당으로 목덜미 근육 (흉쇄유돌근, 승모근)이 손상되어 근육에 강직성 경련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o 치료기간: 대부분 1회 치료로 정상으로 회복되며 2번째 마무리 치료에는 성뇌혈을 배..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4
류마치스 관절염(類風濕關節炎) 류마치스 관절염(類風濕關節炎) [요점] 목적: 류마치스관절염 침구치료와 양약치료 효과 관찰. 방법: 치료팀 침자로(풍지, 삼음교, 완골, 합곡, 내관 투자 외관, 독비, 족삼리, 양릉천 투자 음릉천) 치료 RA 120예, 대조팀 (양약) 120예와 비교한다. 결과: 치료팀 유효율 72.5%, 대조팀의 유효율 60..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3
경련성사경(斜頸) 경련성사경(斜頸) [개술] 경련성사경은 일종 경근 염좌 또는 경련성사경 특징의 추체 외계 기질성질환이다. 임상표현으로 발병이 완만하고, 두부 무의식적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고 굴곡(屈曲) 한다. 정서에 따라 심해지고, 수면 중에서 완전 소실한다. 본 병증은 성인들이 흔히 나타나며, ..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3
평형침임상 - 허리염좌, 급성 섬요, 요통 평형침임상 - 허리염좌, 급성 섬요, 요통 o 주치: 요통혈 - 배합: 편탄혈 o 특징: 허리 부위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근육, 인대, 근막이 손상되어 심한 통증과 활동 제약이 발생한다. o 치료기간: 1주일이내 단기 병증의 경우 대부분 1-5회 치료로 통증이 완전히 사라진다. ※ 둔통혈 치료법 - 좌..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3
평형침임상 - 극하근 손상, 견배통 평형침임상 - 극하근 손상, 견배통 o 주치: 견통혈 - 배합: 경통혈 o 특징: 견갑극 아래 극하와 및 상완골대결절에 뚜렷한 압통이 있고 견관절의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어깨를 외측으로 펴기 어렵다. o 치료기간: 매일 1번씩 3주 치료한 후 매주 3회씩 10회 추가 치료하면 대부분 완치된다.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3
평형침임상 - 극상근 손상, 견배통 평형침임상 - 극상근 손상, 견배통 o 주치: 견통혈 - 배합: 경통혈 o 특징: 극상근 (棘上筋, 견갑골의 극상와에서 기시하여 상완골의 대결절 위쪽면에 부착) 손상에 따른 통증은 어깨를 외측으로 60-120도 펼 때 심해지며 주로 어깨에만 통증이 있는 반면 신경근형 경추병은 상지와 손가락까..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3
평형침임상 - 극간극상인대 손상 평형침임상 - 극간극상인대 손상 o 주치: 요통혈 - 배합: 편탄혈 o 특징: 극상인대는 가슴, 허리로부터 하단의 3,4,5 요추극돌기까지 연결하는 인대이며 극간인대는 각 극돌기 사이를 연결한다. 두인대는 척추를 안정시키고 척추가 지나치게 앞으로 신전하는 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3
평형침임상 - 견관절주위염, 견비통, 오십견 평형침임상 - 견관절주위염, 견비통, 오십견 o 주치: 견통혈 - 배합: 필요시 경통혈, 주통혈 추가 o 특징: 견비통은 야간에 더욱 심하고 주로 상완이두근, 어깨 뒤 소원근에 압통이 나타나며 상지의 활동에 제한을 받으며 견관절을 위로 들거나 외측으로 펴거나 안으로 굽히거나 뒤로 젖힐 ..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