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밤나무
학명은 Fagus engleriana Seemen ex Diels이다.
울릉도 특산으로 높이 300∼900m에 분포하며, 나무높이가 20m에 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모양을 이루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원저(圓底) 또는 넓은 예저(銳底)로 길이 6∼12㎝이며, 뒷면은 중륵기부(中肋基部)에만 털이 있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엽맥(葉脈) 끝이 오므라져서 물결모양 또는 치아모양의 톱니로 되며 9∼13쌍의 측맥이 있고 잎꼭지에 털이 있다.
꽃은 암수 한 그루로 5월에 피고 새 가지에 달리며, 수꽃은 두상(頭狀)으로 모여 달리고 지름이 2.5㎝로 털이 있다.
암꽃은 2개씩으로 꽃덮이는 4∼6개가 합쳐지고 암술대는 3개이며 자방(子房)은 3실(室)로서 각각 2개의 배주(胚珠: 씨방 속에 생기는 뒤에 씨가 되는 기관)가 들어 있으나 1개만 익는다.
견과(堅果)는 난상원형(卵狀圓形)으로 세모가 지고 목질(木質)의 총포(總苞) 중에 1, 2개 씩 들어 있으며, 각두총포(穀斗總苞: 참나무·떡갈나무 등 열매의 밑받침)는 가시 같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내륙지방에서도 겨울을 나며, 음수(陰樹)로서 생장이 느리나 큰 나무가 된다.
맹아력이 좋고 많은 토양수분을 필요로 하지만 공중습도가 풍부하면 비교적 건조한 곳에서도 견딘다.
세계적인 주요조림수종이며, 목재는 재질이 우수하여 건축재·기구재·가구재·선박재·합판재·펄프재 등으로 쓰이고 껍질에서는 염료를 얻는다.
가을에 익는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른 봄에 파종한다.
잎
잎은 어긋나기이며 달걀꼴, 타원형 또는 긴 달걀꼴이고 첨두이며 원저, 넓은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cm로서 표면에 백색 털이 있거나 없으며 뒷면은 주맥 기부에만 털이 있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잎맥 끝이 오므라져서 물결모양 또는 얕은 이빨모양의 톱니로 되고 뒷면 주맥기부에만 털이 있고 황록색을 띠며 8 ~ 10(13)쌍의 측맥이 있다.
꽃
암수한그루로 꽃은 5월에 피고 새가지에 달리며 수꽃은 두상으로 모여 달리고 화경은 길이 2.5㎝로서 털이 나 있다.
암꽃은 2개씩 피는데 4~6개의 화피가 합쳐져 있고 암술대는 3개이며 씨방은 3실로서 각각 2개의 밑씨가 들어 있으나 1개만 익는다.
열매
견과는 달걀상 원형으로서 세모가 지고 목질의 총포 중에 1~2개씩 들어 있으며 각두총포(殼斗總苞)는 가시 같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가 20m에 달하고 곧게 자라며 원뿔모양의 수형을 이루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평활하다.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고 2년지가 회갈색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평활하다.
용도
• 세계적인 주요 조림수종이다.
• 공기정화효과를 갖는 수종으로 해안가의 풍치수, 공원수, 가로수로의 개발이 시급한 수종이다.
동해안의 온대남부와 난대림 지역에 방풍수로서 시험식재 해볼만한 수종이다.
• 분재로의 이용도 가능하다.
• 목재는 건축재, 기구재,가구재,선박재,합판재,펄프재 등으로 쓰인다.
• 나무껍질에서는 염료(染料)를 얻는다.
울릉도 대하동의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및 섬잣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다.
ⓐ지정사유 : 학술연구자원
ⓑ면적 : 145,786㎡
울릉도의 생성 원인에 관하여 여러 가지 학설이 있지만, 화산섬이라면 울릉도의 식물들은 일본이나 한반도에서 건너간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이 배를 타고 건너가기도 어려운 외딴 섬에 식물들은 어떻게 이곳까지 오게 된 것일까?
열매나 씨앗을 먹고 울릉도로 날아간 새들이 가장 큰 역할을 했고, 가벼운 씨앗은 직접 파도에 실려 건너갔다.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큰 나무는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섬잣나무가 있다.
울릉도 너도밤나무는 한반도에서는 자라지 않으므로 일본열도에서 온 것으로 짐작된다.
이는 동해 쪽의 일본 숲에 너도밤나무가 많이 자라는 것이 증거이다.
울릉도 너도밤나무는 일본 너도밤나무와는 다른 변종으로 취급해 왔다.
오랫동안 격리되어 자라는 사이 서로 독립적인 진화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너도밤나무에 통합하여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너도밤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탓에 우리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세계적으로 유명한 나무다.
목재는 단단하고 질기며 물관이 고루고루 흩어져 있는 산공재(酸孔材) 이면서 짙은 갈색의 작은 반점들이 점점이 박혀 있다.
표면이 아름다워 장식용 가구에서부터 합판, 건축 내장재까지 두루두루 쓰인다.
유럽 대륙을 비롯하여 일본 등 온대지방에 널리 자라며, 우리나라의 참나무처럼 그들의 넓은잎나무 숲은 너도밤나무로 대표된다.
지금도 사람이 일부러 심는 인공조림은 너도밤나무가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너도밤나무는 갈잎의 큰 나무로 키 20미터, 지름은 두 아름이 넘게 자랄 수 있다.
울릉도 성인봉에서 나리 분지까지 다른 넓은잎나무들과 섞여 자란다.
태하령 일대에는 솔송나무, 섬잣나무와 함께 너도밤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50호로 지정되어 있다.
너도밤나무는 나무껍질이 연한 잿빛이며, 상당히 나이를 먹어도 매끈하다.
물푸레나무처럼 흰 얼룩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
긴 타원형의 잎이 어긋나기로 달리며 가장자리는 잎맥 끝이 오므라져서 물결모양, 또는 이빨모양의 톱니로 되며 9~13쌍의 잎맥이 있다
암수 한 나무로서 10월경 가시가 숭숭한 껍질(총포) 안에 세모모양의 작은 도토리가 1~2개씩 들어 있다.
동그랗거나 타원형의 도토리를 가진 상수리나무나 떡갈나무와는 다른 집안임을 알 수 있다.
씨는 그대로 먹을 수 있으나 몇 년에 한 번씩 열리므로 밤이나 참나무 도토리처럼 식량자원으로 쓰기는 어렵다.
울릉도에 사람이 본격적으로 들어가 살기 시작한 것은 1883년경이다. 그곳에서 풀뿌리와 나무껍질로 버텼으니 너도밤나무 도토리가 양이 적어 아쉽기는 해도 먹을거리에 보탬은 되었다.
잎 모양도 밤나무를 조금 닮았으니 밤나무와 관련된 이름을 붙여주기로 했을 터다.
첫 이주민은 남부지방 사람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어서 육지의 나도밤나무와 구별하기 위하여 너도밤나무란 이름을 붙여 준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