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의 對話/목본(자)

진달래

초암 정만순 2017. 3. 15. 13:14



진달래


진달래꽃

[ Korean rhododendron , ゲンカイツツジ , ]



진달래

진달래 진달래꽃



학명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진달래과(Ericaceae)
이칭진달래나무

형태분류

줄기: 어린 줄기는 밝은 갈색이고, 아랫부분()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어린 가지 끝부분과 잎자루 부분을 문지르면 향기가 있다.

잎: 어긋나며(), 좁은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한 편이고, 비늘조각()이 표면에 약간 있지만, 뒷면에 밀생하고, 잎자루 길이는 1cm 이하다.(비교: 털진달래는 잔가지와 잎에 털이 많다. 산철쭉은 양면에 갈색 털이 있고, 특히 잎자루에는 갈색 털이 밀생하는 편이다. 철쭉나무는 둥근형의 잎이다.)

꽃: 4~5월에 연한 홍색이거나 밝고 진한 홍색으로 잎보다 먼저 핀다. 가지 끝의 측아()에서 1개씩 나오는데 2~5개 모여 달린다.(비교: 산철쭉은 더욱 진한 홍자색을 띠며, 어린 가지와 꽃자루 부분을 만지면 점성이 강해 진득진득하다. 철쭉나무는 약간의 점성이 있으나 산철쭉보다 약한 편이다. 두 종 모두 잎과 함께 피거나 약간 늦게 핀다.)

열매: 캡슐열매()로 원통형이다.

염색체: 2n=261)

생태분류

서식처: 산지 숲속, 숲 가장자리, 벌채지, 암각지(), 양지~반음지, 약건()~적습()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산지대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대륙성), 중국(동북부), 만주, 몽골, 연해주, 쓰시마() 등
식생형: 산지 삼림식생(낙엽활엽수 이차림, 소나무림), 산화적지 조림식생
종보존등급: [IV] 일반감시대상종


한글명 진달래나무2)는 그 본명이 진달래꽃이다. 일찍이 15세기 후반 『구급간이방()』3)에 한자 (척촉화)에 대해 진욋곳(진달래꽃)으로 기록되었다. 진달래꽃으로 찜질하면 허리 통증에 좋다고 기록했다. 기록으로만 보더라도 무려 400여 년이 훌쩍 넘는 오래된 우리 식물이름이다. 15세기 『훈몽자회()』4)에서는 특히 꽃 종류를 분류해 둔 「화품()」 편에서 한자 (산촉)에 대해 진의로 기재했다. 때문에 중국 한자 표기 (진월배)나 한자명 (척촉)에서 유래한다5)고 하는 것은 잘못이다.

17세기 『향약구급방()』6)에 기록된 (진월배)는 우리 이름을 한자에서 차자()해 기재한 향명 표기일 뿐이다. 19세기 『물명고()』에서 한자 (두견)과 (춘견)에 대해 딘달늬로 기재했고, 20세기 초에 들어서는 진달,7) 진달내,8) 진달래9)로 기재되기도 했다. 「국가표준식물목록」10)에 등재될 정명은 진달래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달래꽃과 철쭉나무는 진달래꽃속(Rhododendron)을 대표하는 관목 떨기나무다. 외형적으로 비슷하지만 그 생태성이 많이 다르다. 사는 장소가 다르고, 꽃 피는 방식이 다르고, 생태계의 선구자로서의 기여도가 다르다. 성미가 급한 것이 진달래꽃이라면 의젓한 것은 철쭉나무인데, 다발로 모여 나 낙엽을 붙잡아 주는 생태적 기능은 비슷하다.

진달래꽃은 철쭉나무보다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남쪽 비탈()처럼 따뜻한 곳을 좋아하고, 잎보다 꽃이 분명하게 일찍 핀다. 철쭉나무는 더욱 시원한 곳을 좋아하고, 잎과 거의 동시에 꽃이 핀다.

진달래꽃은 촉촉한 곳을 매우 싫어하고, 영양분이 풍부한 곳에서는 다른 식물과의 경쟁에서 밀려난다. 그래서 늘 척박한 산지에서 자주 관찰된다. 때문에 자연림이 발달해야 할 곳에 진달래꽃이 만발한 산비탈이 있다면, 분명 산불이나 벌채로 수 년 또는 십수년 전에 훼손된 곳이라는 것을 지표하는 것이다. 그래서 김소월의 ‘영변의 약산 진달래’는 파괴된 자연을 읊은 시가 된다. 지금도 북녘의 벌거벗은 산하에 진달래꽃이 만발하는 까닭도 거기에 있다.


잘 보존된 온대림 숲속에서는 진달래꽃이 보이지 않는다. 진달래꽃이 사는 숲은 이차림이다. 산불이 나고, 벌채하고, 조림한 곳에 진달래꽃이 큰 무리를 이루는 것은 자연이 교란되어 이차적으로 만들어진 경관이다. 그런데 진달래꽃이 나타나는 자연식생이 있다. 산지 암벽 틈에서 낙락장송과 다소곳이 어우러진 위극상(, pseudoclimax)의 전형적인 지속식물군락()이다.11) 지질 역사가 장구한 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자연의 교향악이고, 척박한 곳에서 인내하며 살아가는 대표적인 생명의 다큐멘터리다.


진달래꽃은 키 작은 나무인데도 수명이 따로 없다. 아주 오래 살며, 정확한 나이를 알 수가 없다. 그냥 다발을 만들고 있는 수와 굵기로 대충 추정할 뿐이다. 오래된 것일수록 다발이 크고 줄기가 굵다. 진달래꽃에게 나이를 묻는 것은 인간의 논리다. 산불이 나거나 벌채하면, 다시 그루터기로부터 시작한다.

늙으면 생식력을 잃어버리는 것이 순리이지만, 꽃이 피지 않는 늙은 진달래꽃은 본 적이 없다. 생물학적으로 수명이 다해 늙어서 죽은 진달래꽃도 본 적이 없다. 결코 그 끝을 알 수 없는 진달래꽃의 태생적인 업보다. 철쭉나무도 마찬가지로 다발식물체의 유전형질을 가졌다. 그래서 일본인들이 진달래꽃 종류의 분재에 흥분하는 것이다.

진달래꽃은 준특산(, subendemic)이라 할 정도로 우리나라 온대림식생을 대표하는 관목 가운데 하나다. 우리나라에는 이처럼 진달래꽃을 포함해 진달래꽃속의 종 다양성이 풍부하다.

오래된 지질 역사를 표징하는 마그네슘(Mg++) 이온이 빈약한 토지를 진단하는 생태적 특질에서 비롯한다.12) 진달래꽃은 그 가운데, 아주 깊은 땅속에서 만들어진 후 땅 위로 솟아 오른 지 적어도 1억5천만 년 전의 화강암처럼 조립질() 토양이 넓게 발달한 암석권을 좋아한다. 일본에서는 유일하게 쓰시마()에서만 진달래꽃이 분포한다. 쓰시마는 대부분의 일본열도처럼 화산섬이 아니다. 대륙 한반도에 이어져 있던 섬으로 바닷물이 갈라놓은 것이다.

부산 영종도나 거제도처럼 한반도 남해안의 지질과 그 속성이 똑같은 화강암이 넓게 차지하는 지사()가 오래된 섬이다. 진달래꽃의 일본명도 겐까이쭈쭈지(, 현해척촉)로, ‘현해탄 진달래꽃’이란 의미다. 중국에서도 한반도를 향하는 일부 화강암 지역에 분포한다. 러시아 연해주에는 신갈나무 우점림 속에 두서너 평 정도의 진달래꽃이 자생하는 동북아 최북단 분포지가 있다.13) 이처럼 진달래꽃은 한반도가 분포중심지이고, 모름지기 한국인의 문화 속에 깊이 자리 잡은 민족식물이다.

견고한 편이고, 잎끝()이 짧고 뾰족한 모양에서 무크로눌라툼(mucronulatum)이란 종소명을 얻었다. 그런데 진달래꽃은 서식처 조건에 따라 잎의 질감이나 꽃 색감에 미묘한 차이가 있다. 한반도 최남단에 사는 진달래꽃과 최북단 연해주의 진달래꽃 모양이 다르게 보이는 까닭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음력 삼월삼짇날에 새콤한 맛이 나는 진달래 꽃잎으로 부쳐낸 화전을 안주 삼아 작년에 담근 두견주를 마셨다고 한다.14) 모든 것이 부족했던 시절, 먹거리의 즐거움을 준 진달래꽃은 참꽃이 되었고, 먹으면 배탈이 났던 철쭉은 개참꽃이 되고 만 것이다.

한글명 진달래꽃은 진달래와 꽃의 합성이고, 15세기 후반 최초 한글기재에서 (척촉화)를 진욋곳으로 표기했으니, 한자 표기 (척촉)에서 유래하는 지금의 철쭉 종류를 진달래(진외, 진이)로 불렀던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우리 이름 진달래의 어원을 짐작할 수 있다. 진한 분홍빛을 의미하는 사라져버린 우리말과 관련있는 지는 모를 일이지만, 진득진득한 철쭉 종류 진득이의 새싹에서 전화한 이름임에 틀림없다.

진달래 종류이건 철쭉 종류이건 진달래꽃속(Rhododendron spp.)은 모두 우리 습속에 깊숙이 자리했던 민족식물자원이다. 우리에게 가장 오래된 차() 가운데 하나는 진달래꽃속 어린잎을 우려마신 것으로 확신하기 때문이다.15) 하지만 제주도 어느 구석에서 살던 진달래꽃이 Berg란 채집자에 의해 영국 에딘버러(Edinburgh) 왕립식물원에 입양된 일이 1976년이 처음일 정도로 서양인16)에게 우리의 진달래꽃은 낯선, 그냥 하나의 식물일 뿐이었다.

서양인에게 로도덴드론(Rhododendron spp.)의 문화가 있듯이, 우리에게 동아시아 최고의 진달래꽃 문화가 있다. 속명 로도덴드론(Rhododendron)은 Nerium oleander란 식물의 고대 희랍 명칭에서 유래하며, 장미나무(rose-tree)란 뜻이다.17) 서양에 장미꽃이 있다면 우리에게는 진달래꽃이 있다.

 [Korean rhododendron, ゲンカイツツジ, 迎红杜鹃]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자연과생태)




'숲과의 對話 > 목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팝나무   (0) 2017.03.20
층층나무  (0) 2017.03.19
전나무  (0) 2017.03.19
쥐똥나무  (0) 2017.03.19
철쭉  (0) 2017.03.15